안녕하세요, 글로리입니다~
6월 11일, 청춘상담소 9회기의 교육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마지막 회기에서는 세가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답니다.
1. 그동안의 참여소회 (각자의 느낌과 생각)
2. 온라인 상담 연계시 참고될만한 소스정리
3. 문화기획에 대한 안내
[1] 마음지기의 참여소회
여기서는 각자의 마이크를 켜고 돌아가면서 이야기해주셨는데요 :)
살포시 익명으로 몇문장만 공유드릴게요!
- 마음지기 A: 감정이 교류하는 것 같아서 활동이 돈독했음
- 마음지기 B: 유의미한 관계와 오래가는 친구들을 만들고 배우는 것이 큰 자산임
- 마음지기 C: 사람을 만난다는 것이 좋았고 많은 것을 배웠음
공감입니다~ 9회기가 시작할때는 많아보였는데 종료되니 아니 벌써? 싶어라구요.
[2] 경기 청년정책 시행
온라인 상담을 하다보면 사연자들이 정보에 대해 잘 모르고 있거나, 검색력이 약하거나
아니면 이분한테는 이 정보가 딱인데! 할 때가 있어요.
그럴 때 마음지기가 정보를 연계하는 역할을 할수 있다구요~
크게 5가지로 분류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어요.
1) 일자리
어느곳을 가던지 첫순위에 올라있다고 해요.
대표적으로 면접수당(2021년, 현재 5만원!), 청년노동자 통장, 청년노동자지원사업
경기 콘텐츠 코리아 랩운영(영상, 음악, 미디어, 독립영화 등, 상업예술 지원) 등등이 있습니다.
2) 주거
모든 면이 중요하지만 특히나 청년의 지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바로 주거 부분일텐데요, 이에 맞추러
매입임대주택, 행복주택, 경기도공공기숙사와 더불어 성남에서도
청년을 위한 주거 사업(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쉐어하우스, 반값원룸)이 진행되고 있죠.
3) 교육
크게는 대학생을 위한 학자급 대출이자 지원, 대학일자리센터와
고교취업활성활를 위한 취업역량강화교육 등이 있습니다.
4) 복지문화
청년이봄 ‘청년교양’에서도 한차리 다루었던 기본소득!
성남과 경기도는 청년 기본소득을 가장 먼저 시작한 곳으로도 알려져있죠.
이밖에도 청년 층 정신건강 서비스 강화를 위한 사업등과 퇴소 및 보호종료아동 자립정착금 지원 등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5) 참여권리
참여에 대한 부분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죠!
청년정책 거버넌스(청년이 직접 참여해서 제안하고 지원, 청년들의 목소리 대표)
경기청년지원사업단 운영, 청년 공동체 활성화 등이 이뤄지고 있네요.
이밖에도 더 자세한 경기도 청년정책·사업들을 보고 싶다면?
경기도청 홈페이지 – 고시·공고에서 확인해주세요~
https://www.gg.go.kr/bbs/board.do?bsIdx=469&menuId=1547#page=1#keyfield=SUBJECT#keyword=%EC%B2%AD%EB%85%84
[3] 문화기획 안내
심화교육인 문화교육은, 온라인 만남이 아쉬우시다는
마음지기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 무려 오프라인으로 만날 예정입니다.
(코로나 이후 얼마만인지!)
(이렇게 친해졌는데… 오프라인으로 보면 낯선… 사이버 친구)
6/18(금) ~ 7/9(금) 까지 총 4회기의 만남이 남아있어요.
오프라인 만남도 기대 많이 해주세요!
링크
사이트 링크가 없습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