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소식

청년이봄에게 궁금한 점을 물어보세요.

진로로드뷰 청년교양 #1 <기본소득> 내듣내산 후기

안녕하세요 찐입니다(찡긋)♥

청년 진로로드뷰 청년교양 첫 문이 열렸는데요~

주제는 <기본소득> 이었답니다!

역쉬.. 청년이봄 강좌는 알짜베기인가.. hoxy..

 

/

기본소득은 왼쪽도, 오른쪽도 아닌 앞으로 전진한다.”

/

항상 새로운 아이디어는 그 아이디어가 도입될 때 기존의 정치적 스펙트럼이 완전히 무너집니다.

따라서 이것은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가질 수밖에 없는 본질이고, 속성이고 자기 운명일 수밖에 없다.”

 

이게 전부 무슨 말이냐구요?

기본소득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다면! 쏙 이해가 될겁니다!

 

경기도 기본소득위원회 위원님이신 김찬휘 강사님께서

기본소득에 대해 정~말 이해하기 쉽고, 유쾌하게 설명해주셨는데요!(이 어려운걸 두 개나?!)

 

[大꿀팁 방출] 강의를 놓쳐 아쉬운 봄블리를 위한 선물이 있어요!

봄이야기 링크에 있는 ‘김찬휘TV’ Youtube에

기본소득과 관련된 다양한 영상이 많으니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려요~!!

(강사님 저 잘했죠?! 히히)

 

--------------------------------------------------------------------------------------------

 

한국에서 기본소득 운동이 14~15년 정도 진행 되었지만 큰 관심을 받지 못 했어요.

하지만! 최근 재난 기본소득을 계기로 폭발적인 관심이 생겼죠!

 

저 또한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키워드인 기본소득을 주제로

정치인들이 서로 논쟁하는 장면들을 보면서

과연 기본소득이 올바른 제도인지 늘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주변은 물론 언론에서도 어느 곳 하나 명쾌하게 답을 해주는 곳이 없다 보니

더 어렵고 멀게 느껴지는 분야였어요ㅠㅠ (저만 그런거 아니죠?!)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을 받는 만큼이나

기본소득에 대한 관심을 가진 우리 봄블리 여러분들을 위해!!

김찬휘 강사님께서 단 두 시간만에 궁금증 해소해주셨을거라 믿습니다!

 

10000% 확신합니다! 왜냐고요?! 제가 이해가 됐으니까요!!!

(똑똑한 봄블리들은 모두 이해가 되셨을거에유)

 

누구보다 기본소득에 대해 무지했지만

누구보다 열심히 수강한 찐의 정리노트를 공개합니다(찐듣찐정)

강의를 듣기 전에 기본소득에 대한 저의 의문점들은 아래 두 개였어요!

 

<기본소득에 대한 잘못된 오해 best 2>

 

강사님께서 기본소득에 대한 ‘잘못된 지식’으로 콕 집어서 설명해주셨어요 하하(바보인증)

모야모야 찐을 위한 맞춤 수업이야?(웅성웅성) 강사님 만만쉐이~!!!


 

--------------------------------------------------------------------------------------------

 

<기본소득 정의>

 

--------------------------------------------------------------------------------------------

 

<우리나라의 배경과 기본소득>

#1 소득불평등

(한국은 2013년도 아시아 중 소득불평등 1위)


여러분들은 오른쪽과 왼쪽 중 어느 쪽이 기본소득과 가깝다고 생각하시나요?

정답은 오른쪽 입니다!

 

“왜 많이 버는 사람이랑 적게 버는 사람이 같은 금액을 받아? 불공평해!”

라는 생각으로 왼쪽을 선택한 분들도 있을텐데요.

 

그렇다면 받는 것이 아닌, 내는 것에 초점을 맞춰볼까요?!

* ex) 20억을 내고 50만원 받기 vs 1만원 내고 50만원 받기

기본소득을 위한 기여금을 소득에 따라 차등을 두어 내고,

누구나 무조건적으로 똑같은 금액을 받는다고 이해한다면 소득불평등은 완화되겠죠! :)

 

모두에게 지급되는 기본소득은 ‘적극적 소득재분배’이기 때문에

소득 양극화 세상에서 기본소득이 추구하는 것은 소득 불평등의 철패가 아닌 완화이다! 라는 말이 기억에 남아요.

 

#2 복지제도

우리 주변에서 쉽게 느낄 수 있는 제도들과 기본소득이 어떠한 점이 다른지 알아보았어요!

(재난지원금, 근로장려금, 실업급여, 기초생활수급 생계급여, 무상급식 등)

특히 소득에 따른 계단식 복지제도의 단점은 기본소득을 이해하는데 정말 유익했답니다!

 

--------------------------------------------------------------------------------------------

 

(주저리주저리)

강의 내용의 일부분만 정리해보았는데도

너무나 유익한 내용들로 꽉~꽉~ 채워져 있죠!

 

찐은 이제 주변 친구들에게 자랑할거랍니다.

“어이~ 친구 양반들~ 청년기본소득은 받으면서 기본소득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냐구(후후)”

“나는 제.대.로 아는 대한민국의 미래 유망주 성남 청년이라고!”

 

coming soon - ♥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답글 (0)

처리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