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소식

청년이봄에게 궁금한 점을 물어보세요.

노동인권 10회차후기 - 우리가 챙겨야 할 불만의 품격 (+후기당첨자)

 

< 10회차 우리가 챙겨야 할 불만의 품격’ >

 

8.18() 19:00-21:00<노동인권강의 10회차 우리가 챙겨야 할 불만의 품격>을 진행했어요!

이번 회기는 월간잉여 최서윤 편집장님께서 강의해주셨어요!

최서윤 편집장님은 사회에 갖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방식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계신데요!

 

저도 5년 전에 참석했던 수저게임의 경험이 특별해서 노동인권 강의에 최서윤 작가님을 모시게 됐어요!

코로나가 아니었다면 다같이 수저게임을 해볼 수 있었을텐데 아쉽네요!

 

작가님은 처음에 어떻게 "월간잉여"를 제작하게 되셨는지부터 이야기를 시작하셨어요.

언론고시를 2년 동안 준비하고, 토익 만료일이 다가오자 사회에서 탈락 된 ‘잉여‘라는 존재가 혼자만이 아니라 사회적 문제라고 생각이 드셨다고 해요.

그래서 잉여들의 이야기를 모으고, 잉여인 자신의 글을 모아 제작한 후에 청년센터나 여러 곳에 잡지를 뿌리셨다고 해요!

또 지금 생각난건데 여기 잉여추가요(여잉추)”라는 사이트도 운영하셨어요! 저도 잉여시절 들어가 본 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아쉽게도 호스팅이 만료되어 사이트가 사라졌네요.

그렇게 월간잉여를 매개로 만난 ‘잉여’들끼리 사생대회를 하기도 하고, 여러 소모임을 가지셨다고 해요.

월간잉여의 경우 모든 배송을 수작업으로 하셨기 때문에

월간잉여 출판을 다시 시작할 엄두가 안나는 부분이 수작업배송 때문이라고 하시더라구요.

 

또 이렇게 활동하시던 2014년 때에 ‘수저론이 등장하기 시작했어요.

흙수저, 금수저 다들 한번씩 들어보셨죠?

작가님은 이 논의와 상징들을 바탕으로 보드게임을 제작하셨어요.

부루마블같은 게임인데요, 흙수저의 경우에는 10번의 턴이 돌 동안 전부 생존하거나 개인의 신분상승이 승리조건이었고,

금수저의 경우에는 자산을 증식하는 게 승리조건이었어요.

흙수저로 플레이해본 사람의 경험을 말하자면 정말 신분상승이 쉬운 게 아니더군요.

실제로도 그렇지만요ㅎ

그리고 게임에 현실요소들이 너무 잘 반영되어 있어서 게임을 하면서도 속 터지는 경험을 할 수 있어요.

게임에서라도 금수저를 플레이해볼 수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수업에서는 한겨례에서 제작한 다른 분들이 플레이하신 수저게임 영상기록을 10분정도 같이 봤어요!

 

이런저런 활동을 하고 점점 이름이 알려지면서 작가님께 인터뷰를 요청하는 분들이 많아졌는데,

여기서 생존이라는 키워드로 하루에 2끼씩 얻어먹어서 1년을 생존하는 730프로젝트를 진행하셨어요.

이 프로젝트가 기사에 나오게 되었는데, 여성혐오적이고, 성차별적인 악플을 많이 받으셨다고해요.

여기서 성폭력과 위계, 구조적 문제에 대한 인식으로 생각이 이어지셨다고 해요!

 

이어서 참가자들과 함께 "직장 내 폭력과 위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시간을 잠깐 가졌어요!

스트리밍 특성상 딜레이가 있어서 원활하지 못했던 점은 좀 아쉬웠어요.

폭력에 대해서 생각하다가 웃음과 농담의 속성에 대해 생각하시게 됐다고 해요!

위계에서 발생하는 폭력 중 조롱을 가장한 농담이 있는데, 듣는 사람은 유쾌하지 못하고

하는 사람만 즐거운 그런 농담들의 불편함이 어디서 오는지 궁금함을 느끼게 되셨다고 해요.

스탠드업의 뿌리인 미스트럴쇼부터 선입견을 바탕으로 시작된 유머라고 해요.

그런데 확실히 유머라는게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 또는

보편적 인식을 바탕으로 유머를 얹거나 그 현상을 비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그 고정관념을 답습해야 한다는 딜레마를 갖고 있는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는 폭력의 순환고리 끊기로서 개인이 할 수 있는 정치적 활동에 대해서 얘기 나눴어요!

자신의 주장을 언어화해서 기록하기, 프로젝트화하기, 노조가입하기

작지만 끊임없이 불만을 얘기하는 방법에 대해서 나누며 수업을 끝마쳤어요!

 

<10회기 노동인권 기프티콘 당첨자>

;

드디어 10회기 동안의 노동인권수업이 끝이 났는데요!

수업을 기획하고 들으면서 

저 또한 많은 공부할 수 있어 좋은 시간이었고,

또 열심히 들어주시는 분들을 뵈면서 많은 힘이 되었어요!

막상 끝났다고 하니까 성취감이 있으면서도 시원섭섭하네요!

4개월 동안 노동인권 강의 들어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

권리를 찾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관련링크 >

 

-월간잉여

https://monthlyingyeo.com/

 

-잉집장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onthlyingyeo

 

-불만의 품격 구매링크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2842036

 

10회기 동안 노동인권 강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포뇨드림

링크

사이트 링크가 없습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답글 (0)

처리중입니다.